Develop/AWS

[AWS] EC2 인스턴스 생성 및 관리

Gr00t 2021. 2. 13. 14:09

EC2 란?

Amazon에서 제공하는 Elastic Compute Cloud(EC2)의 약자고 클라우드에서 확장 가능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서비스의 인스턴스를 생성해 클라우드에 개인용 작업 공간을 만들 수 있다.

Amazon EC2에서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데 몇가지만 알아보면

  • Amazon Machine Image (AMI) : 인스턴스를 만들 수 있는 이미지 제공 (개인 이미지 제작 가능)
  • 인스턴스 유형 선택 : CPU, 메모리, 스토리지 등을 선택해서 인스턴스 생성 가능
  • 키 페어를 통한 정보 보호 : 퍼블릭 키를 AWS에 프라이빗 키를 사용자에게 보관
  • 임시 볼륨과 영구 볼륨 : 인스턴스와 연결된 임시 볼륨을 통해 저장 가능하지만 인스턴스 종료시 데이터 삭제, EBS라는 영구 볼륨을 통해 영구적인 저장도 가능
  • 리전(region) 선택 :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물리적인 지역 선택 가능
  • 보안 그룹 : 프로토콜, 포트, IP 등의 범위를 지정하는 방화벽 역할
  • 탄력적 IP 주소(EIP) : 인스턴스는 정지시마다 IP가 바뀌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고정 IP 주소
  • VPC :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연결할 수 있는 가상 네트워크

등이 있다.

Amazon EC2이란 무엇입니까?
Amazon Elastic Compute Cloud(Amazon EC2)는 Amazon Web Services(AWS) 클라우드에서 확장 가능 컴퓨팅 용량을 제공합니다. Amazon EC2를 사용하면 하드웨어에 선투자할 필요가 없어 더 빠르게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배포할 수 있습니다. Amazon EC2를 통해 원하는 만큼 가상 서버를 구축하고 보안 및 네트워크 구성과 스토리지 관리가 가능합니다.
https://docs.aws.amazon.com/ko_kr/AWSEC2/latest/UserGuide/concepts.html
출처 : A Cloud Guru


VPC와 EC2 인스턴스 생성해서 접속해보기

VPC 생성

VPC를 사용자 마음대로 생성하는 것은 이전 포스팅에서 다뤘으니 이번에는 아마존에서 제공하는 기본VPC를 생성해서 사용한다.

VPC탭에서 VPC 생성을 클릭한다.

기본 VPC에 대한 안내 문구를 읽어보고 기본 VPC 생성을 클릭해 생성한다.

인스턴스 생성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과정도 이전 포스팅에서 다뤘으나 VPC처럼 기본적으로 제공해주는게 없음으로 한번 더 보도록 하겠다. (복습)

일부 추가적인 설명이 있는 경우가 있으니 천천히 읽어보며 따라오길 바란다.

인스턴스 시작

EC2 → 인스턴스 탭에서 인스턴스 시작을 클릭한다.

AMI 선택

인스턴스의 바탕이 될 이미지를 원하는 것으로 골라서 선택한다.

인스턴스 유형 선택

대부분 프리티어 계정을 사용하고 있을 것이다. 따라서 프리 티어에서 선택 가능한 t2.micro유형을 선택해주면 된다.

인스턴스 세부 정보 구성

이전에는 인스턴스에 대한 VPC, 서브넷 등을 확인했다. 여기서는 기본 설정 그대로 두고 advanced→ data box에 명령어 추가해서 인스턴스가 시작함과 동시에 실행할 명령어들을 추가해보록한다.

#!/bin/bash
yum update -y
yum install -y httpd
yum install -y wget
chkconfig httpd on
cd /var/www/html

스토리지 추가

다음으로 넘어간다.

태그 추가

이름으로 사용할 태그만 추가하고 넘어간다.

보안 그룹 설정

이전에는 외부에서 접속을 위한 SSH만 추가되어있었지만 오늘은 웹 서비스를 동작시킬 HTTP 프로토콜도 추가해보도록 하겠다. 유형을 선택하면 프로토콜과 포트 범위가 자동으로 입력된다. 여기서 소스를 내 IP로 변경해 내 컴퓨터에서만 접근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인스턴스 시작 검토

바로 시작하도록 한다.

키페어 생성

키 페어는 저번에 만들어 둔게 있다면 기존 키 페어를 선택해서 쓸수도 있고 새로 만들어도 된다.

각 인스턴스 별로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만들었다면 보안상의 이유로 다른 키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인스턴스 관리

IP 확인

인스턴스의 체크박스를 클릭하고 연결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인스턴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MobaXterm 실행 - SSH

Session을 클릭하고 새 창이 뜨면 아래와 같이 정보를 입력하고 OK

MobaXterm 실행 - SFTP

Session을 클릭하고 새 창에서 아래와 같이 정보를 입력하고 OK

인스턴스 중지와 종료

인스턴스는 중지와 종료를 구분해야 한다.

  • 중지는 잠시 사용을 멈추는 것으로 비용지불을 막지만 다시 시작하면 IP가 변경될 수 있다.
  • 종료는 인스턴스를 영구적으로 멈추고 삭제하는 것으로 다시 되돌릴 수 없다.

인스턴스 종료

해당 인스턴스를 클릭하고 인스턴스 상태→ 인스턴스 종료를 클릭한다.

종료하려고 하면 취소할 수 없다고 안내 메시지가 나온다.

인스턴스를 삭제하는 것으므로 인스턴스 정보가 전부 사라진다.

인스턴스 중지

해당 인스턴스를 선택하고 인스턴스 삭제→인스턴스 중지를 클릭한다.

중지는 가볍게 확인하는 메시지만 나온다.

언제든지 다시 시작할 수 있기때문에 프라이빗 주소는 남아있고 퍼블릭만 사라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다시 시작하면 퍼블릭 IP가 변경된 것을 볼 수 있다.